JDK 9, Tomcat 9, Spring boot 2.X에 HTTP/2를 설정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JDK 8 이하이거나 Tomcat이 8이하일 경우 별도의 라이브러리[libtcnative library] 설치후 의존성을 주입해주어야 한다.)
1. ssl설정 : Spring boot에 HTTP/2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ssl 설정은 필수이다. 만약 설정하지 않으면 HTTP/2 통신이 지원되지 않는다.
- keystore 파일 생성 하기
- Terminal 창에 아래 커맨드를 입력하여 keystore 생성.
$keytool -genkey -alias spring -storetype PKCS12 -keyalg RSA -keysize 2048 -keystore keystore.p12 -validity 4000
- keystore 정보 입력
3. application.properties : ssl 설정 및 port 설정 후 server.http2.enabled=true 이와 같이 작성하면 끝.
#application.properties
server.port=8443
server.ssl.key-store=***/***/keystore.p12
server.ssl.key-store-type=PKCS12
server.ssl.key-store-password=123456
server.ssl.key-alias=spring
server.http2.enabled=true
4. 인증서 파일 생성하기 (Client에 제공하는 파일 생성)
$keytool -export -alias spring -keystore /home/hyosung/workspace/http2_demo/keystore.p12 -rfc -file /home/hyosung/workspace/key.cer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Boot] DI(Dependency Injection: 의존성 주입) 란 무엇인가? (0) | 2024.05.23 |
---|---|
[Spring Boot] Spring Boot에서 JWT 토큰 발급 및 인증 해보기!! (0) | 2024.05.23 |
[Spring Boot] AOP(Aspect-Oriented Programming, 관점 지향 프로그래밍)란 무엇인가? (0) | 2024.05.22 |
Spring Native Image 란 무엇인가? (0) | 2024.01.28 |
[개념] Spring Framework와 Spring boot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