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AI 시장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나
AI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시장에는 수많은 인공지능 모델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기술이 아무리 좋아도 실제 사용자가 찾지 않으면 의미가 없습니다. 그래서 중요한 질문은 이것입니다. "지금 사람들이 실제로 많이 쓰는 AI 모델은 무엇이고, 왜 그 모델을 선택할까?"
이번 글에서는 대표적인 AI 챗봇 플랫폼 'Poe(포)'가 공개한 2025년 1월부터 5월까지의 사용자 데이터를 바탕으로, AI 모델의 사용 트렌드를 분석합니다. 코딩, 추론, 이미지, 영상 등 분야별로 어떤 모델이 성장하고 있는지, 또 어떤 모델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지 상세히 살펴봅니다.
Poe 플랫폼이 중요한 이유
Poe는 사용자들이 다양한 AI 모델을 동일한 인터페이스 내에서 선택해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챗봇 플랫폼입니다. 즉, 특정 브랜드에 치우치지 않고 순수하게 모델의 성능과 편의성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설계돼 있습니다.
이런 구조 덕분에 Poe가 공개한 사용량 데이터는 시장에서 어떤 AI 모델이 실질적인 선택을 받고 있는지 판단하는 데 신뢰할 수 있는 지표로 활용됩니다.
코딩과 추론 모두 잡은 구글 제미나이 2.5 프로
2025년 상반기 가장 빠르게 점유율이 상승한 모델은 구글의 '제미나이 2.5 프로'입니다. 특히 코딩 분야에서 높은 성능을 보여주며 개발자들의 선호를 크게 얻었습니다. 그 결과, 메시지 점유율이 무려 5%포인트 상승했습니다.
또한 추론 분야에서도 빠른 성장이 눈에 띕니다. 제미나이 2.5 프로는 출시 후 단 6주 만에 전체 추론 메시지의 31.5%를 차지하며 1위에 올랐습니다. 이는 사용자들이 단순한 대화형 AI를 넘어서 복잡한 문제 해결 능력을 갖춘 모델을 더 많이 찾고 있다는 신호입니다.
하락세를 보인 앤트로픽 클로드 제품군
한편, 앤트로픽의 '클로드 3.5 소네트'와 '3.7 소네트'는 같은 기간 동안 10% 가까운 점유율 하락을 겪었습니다. 추론 모델의 인기가 상승하는 시장 흐름 속에서, 상대적으로 클로드 제품군이 기술적으로 뚜렷한 강점을 보여주지 못했다는 점이 원인으로 분석됩니다.
기술이 정체돼 있거나, 경쟁 모델에 비해 개선 속도가 느릴 경우 사용자는 금방 등을 돌리게 됩니다. 클로드의 경우가 그 대표적인 사례로 보입니다.
추론 모델, 새로운 경쟁의 중심으로 떠오르다
이번 보고서에서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추론 모델 사용량의 급증입니다. 2024년 말 전체 메시지 중 2%에 불과하던 추론 관련 메시지 비율은, 2025년 5월에는 10%로 증가했습니다. 무려 5배에 달하는 성장입니다.
이 변화의 중심에는 제미나이 2.5 프로가 있습니다. 빠르고 정확한 추론 결과를 보여주면서 사용자의 신뢰를 얻었고, 그 결과 점유율 1위를 차지했습니다.
이는 앞으로 AI 기술 경쟁의 중심이 단순 텍스트 생성이 아니라 '추론 능력'이 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더 똑똑하게 생각하고 복잡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모델이 살아남게 된다는 것입니다.
이미지 생성 분야의 경쟁 구도
이미지 생성 모델 시장에서도 경쟁이 치열합니다. 오픈AI는 4월 말 'GPT-Image-1'을 API로 출시하며 빠르게 시장에 진입했고, 불과 2주 만에 전체 이미지 생성의 16.7%를 차지했습니다.
구글의 '이매진 3'은 23.7%의 점유율로 여전히 강세를 보이고 있으며, 블랙포레스트랩스의 '플럭스' 패밀리는 전체를 합쳐 35%를 기록하며 장기적인 선두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GPT 이미지 모델의 빠른 성장은 향후 이 분야 경쟁 구도를 재편할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특히 텍스트 생성에 강점을 가진 오픈AI가 이미지 생성 영역까지 공략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
동영상 생성 분야의 다크호스: 클링 2.0
의외의 결과도 있었습니다. 중국 콰이쇼우의 '클링 2.0'은 출시 후 단 3주 만에 20.9%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단숨에 2위에 올랐습니다. 이전 버전까지 포함하면 총 28.4%로 1위에 해당하는 수치입니다.
반면, 기존의 강자였던 런웨이는 점유율이 절반 가까이 줄어들며 23.6%로 내려앉았습니다. 구글의 '비오 2'는 여전히 15~20%대를 유지하며 안정적인 사용률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는 동영상 생성 분야에서도 기존 강자보다 빠르고 과감한 기술 혁신을 시도한 기업이 시장을 선점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정리: 지금 가장 인기 있는 AI 모델은?
분야 | 선두 모델 | 특징 |
코딩 | GPT-4.1, 제미나이 2.5 | 성능 향상, 개발자 커뮤니티에서 인기 급상승 |
추론 | 제미나이 2.5 프로 | 복잡한 질문에 대한 높은 이해도와 응답 정확도 |
이미지 생성 | 플럭스, 이매진 3, GPT 이미지 | 멀티모달 기능 강화, 다양한 포맷에 대응 가능 |
동영상 생성 | 클링 2.0 | 빠른 성장세, 기존 강자들 제치고 시장 선도 |
AI 모델 선택 기준이 바뀌고 있다
이번 Poe의 보고서는 단순히 AI 모델의 인기 순위를 보여주는 자료가 아닙니다. AI 기술이 어떤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는지, 사용자들이 어떤 성능과 기능을 중요하게 여기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특히 두 가지 변화가 눈에 띕니다. 첫째는 추론 기능의 부상입니다. 이제 단순히 말을 잘하는 AI보다, 상황을 이해하고 판단할 수 있는 AI가 더 각광받고 있습니다. 둘째는 멀티모달 기술의 확장입니다. 텍스트는 물론 이미지, 영상까지 다룰 수 있는 모델들이 더 많은 선택을 받고 있습니다.
앞으로 AI를 도입하려는 기업이나 개발자라면 단순한 성능만이 아니라, 모델이 어떤 작업에 강점을 가지고 있는지, 그리고 그 기술이 사용자의 실제 니즈에 부합하는지를 따져보는 것이 더 중요해질 것입니다.
지금 선택하는 모델이, 향후 경쟁력을 좌우할 수 있습니다.
https://poe.com/ko/blog/spring-2025-ai-model-usage-trends
보고서: 2025년 봄 AI 모델 사용 동향 - Poe
New report: How have 2025’s breakthrough model launches influenced AI usage patterns? Our latest ecosystem report examines demand and share-of-usage based on millions of interactions on Poe across text, image, video, audio, and reasoning models.
poe.com
'인공지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잡한 연동은 이제 그만, AG-UI로 간단하게 해결하는 에이전트-프론트엔드 연결 (0) | 2025.05.16 |
---|---|
경쟁은 시작됐다: Google Gemini 1.0 Ultra, 진짜 쓸만한가? (0) | 2025.05.16 |
AI 코딩, 이제는 AI 모델 여러 개를 적절한 용도에 맞게 쓰세요 - GPT, Claude, Gemini, o 시리즈의 실전 비교와 조합 전략 (0) | 2025.05.16 |
코드 한 줄 없이 E2E 테스트? - 자연어로 테스트하고 AI로 실행하는 혁신적인 E2E 테스트 프레임워크 (0) | 2025.05.15 |
AI가 개발 생산성은 높였는데, 왜 시스템 성능은 떨어졌을까?― Gemini Code Assist로 풀어보는 AI 도입의 역설과 해법 (0) | 2025.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