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살펴보기!!
문제 링크 : https://www.acmicpc.net/problem/3584
솔루션 살펴보기!!
import sys
def find_lca(node1, node2, parent):
"""
두 노드의 가장 가까운 공통 조상(LCA)을 찾는 함수.
"""
ancestors = set()
# node1의 모든 조상을 기록 (root까지)
while node1 != -1:
ancestors.add(node1)
node1 = parent[node1]
# node2의 조상을 추적하며 첫 번째로 만나는 공통 조상을 반환
while node2 != -1:
if node2 in ancestors:
return node2
node2 = parent[node2]
return -1 # 문제 조건상 실행되지 않음
def main():
input = sys.stdin.read
data = input().split()
idx = 0
T = int(data[idx]) # 테스트 케이스 수
idx += 1
for _ in range(T):
N = int(data[idx]) # 노드 수
idx += 1
# 각 노드의 부모 정보를 담을 리스트 (0번 인덱스는 사용하지 않음)
parent = [-1] * (N + 1)
# 트리 간선 정보 입력
for _ in range(N - 1):
A, B = int(data[idx]), int(data[idx + 1])
parent[B] = A
idx += 2
# 두 노드 입력
node1, node2 = int(data[idx]), int(data[idx + 1])
idx += 2
# LCA 찾기
lca = find_lca(node1, node2, parent)
print(lca)
if __name__ == "__main__":
main()
풀이 전략
이 문제는 트리에서 두 노드의 가장 가까운 공통 조상(LCA, Lowest Common Ancestor)을 찾는 문제입니다. 트리는 루트 노드에서 시작하여 자식 노드들이 있는 계층 구조를 가지며, 각 노드는 부모가 한 명뿐인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주어진 트리에서 두 노드의 공통 조상을 찾기 위한 전략은 다음과 같습니다:
- 트리 구성: 주어진 노드들로 트리의 간선을 형성하고 각 노드의 부모 정보를 저장합니다. 이 정보는 두 노드의 조상을 추적하는 데 필요합니다.
- 조상 추적: 첫 번째 노드의 모든 조상(부모 노드)을 루트 노드까지 추적하여 저장한 후, 두 번째 노드의 조상을 하나씩 탐색합니다. 이때, 두 번째 노드의 조상 중 첫 번째 노드와 공통되는 가장 가까운 노드를 찾으면 그것이 두 노드의 공통 조상(LCA)입니다.
- 효율적 탐색: 두 노드의 부모를 따로따로 추적하면서 겹치는 부모(공통 조상)를 만날 때까지 탐색합니다. 두 노드의 경로를 모두 탐색하지 않고 빠르게 공통되는 조상을 찾을 수 있는 구조입니다.
코드 주요 흐름 설명
1. 입력 처리 및 초기 설정
def main():
input = sys.stdin.read
data = input().split()
idx = 0
T = int(data[idx]) # 테스트 케이스 수
idx += 1
- sys.stdin.read를 사용하여 모든 입력을 한꺼번에 받아옵니다. 이렇게 하면 반복적으로 input()을 호출할 필요 없이 한 번에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어 효율적입니다.
- 데이터를 공백 기준으로 나누어 data 리스트에 저장하고, idx를 사용해 입력 값을 차례로 처리합니다.
- T는 테스트 케이스의 수를 나타냅니다.
2. 부모 정보 저장
for _ in range(T):
N = int(data[idx]) # 노드 수
idx += 1
# 각 노드의 부모 정보를 담을 리스트 (0번 인덱스는 사용하지 않음)
parent = [-1] * (N + 1)
# 트리 간선 정보 입력
for _ in range(N - 1):
A, B = int(data[idx]), int(data[idx + 1])
parent[B] = A # B의 부모는 A
idx += 2
- 각 테스트 케이스마다 노드의 수 N을 받아옵니다.
- parent 리스트는 각 노드의 부모를 기록하는 배열로, parent[i]는 i번 노드의 부모를 가리킵니다. 트리는 1부터 시작하므로, 0번 인덱스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 주어진 트리의 간선 정보로 부모 노드를 설정합니다. 각 B 노드는 A를 부모로 가지며, 이를 parent[B] = A로 기록합니다.
3. 두 노드 입력 및 LCA 탐색
# 두 노드 입력
node1, node2 = int(data[idx]), int(data[idx + 1])
idx += 2
# LCA 찾기
lca = find_lca(node1, node2, parent)
print(lca)
- LCA를 구하고자 하는 두 노드를 입력받습니다.
- find_lca 함수는 이 두 노드의 가장 가까운 공통 조상을 찾아 반환합니다. 이를 출력합니다.
4. LCA 찾는 함수 (find_lca)
def find_lca(node1, node2, parent):
"""
두 노드의 가장 가까운 공통 조상(LCA)을 찾는 함수.
"""
ancestors = set()
# node1의 모든 조상을 기록 (root까지)
while node1 != -1:
ancestors.add(node1) # node1의 조상을 집합에 추가
node1 = parent[node1] # 부모로 이동
# node2의 조상을 추적하며 첫 번째로 만나는 공통 조상을 반환
while node2 != -1:
if node2 in ancestors: # node1의 조상 집합에 node2가 있으면
return node2 # 공통 조상을 반환
node2 = parent[node2] # 부모로 이동
return -1 # 문제 조건상 실행되지 않음
- find_lca 함수는 두 노드의 공통 조상을 찾는 핵심 함수입니다.
- 첫 번째 노드의 모든 조상 기록:
- node1의 모든 조상을 루트까지 추적하면서 집합 ancestors에 저장합니다. 이는 추후 node2의 조상들과 비교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 두 번째 노드의 조상과 비교:
- node2의 조상을 하나씩 추적하면서, 첫 번째 노드의 조상들과 겹치는 조상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가장 먼저 겹치는 조상이 발견되면 그것이 두 노드의 가장 가까운 공통 조상이므로 반환합니다.
이 방식은 트리의 높이에 비례한 시간 복잡도를 가지며, O(H)의 시간 복잡도를 갖습니다. H는 트리의 높이이며, 루트에서 리프까지의 최대 거리입니다.
코드 면접시 알아야할 주요 개념
1. 트리 (Tree) 자료구조
트리는 계층적인 구조를 가진 자료구조로,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 루트 노드 (Root Node): 트리의 최상위 노드로, 부모가 없는 유일한 노드입니다.
- 자식 노드 (Child Node): 다른 노드에서 간선을 통해 내려오는 노드입니다.
- 부모 노드 (Parent Node): 자식 노드를 연결하는 상위 노드입니다.
- 리프 노드 (Leaf Node): 자식이 없는 노드입니다.
- 서브트리 (Subtree): 트리의 일부로, 특정 노드와 그 자식 노드들로 구성됩니다.
면접에서 트리에 대한 질문이 나오면, 트리의 기본 개념과 용어들을 명확하게 설명할 수 있어야 하며, 트리의 다양한 응용에 대한 이해도 필요합니다.
2. LCA (Lowest Common Ancestor) 문제
LCA 문제는 주어진 두 노드 간의 가장 가까운 공통 조상을 찾는 문제입니다. 트리에서 두 노드의 부모들을 추적하여, 가장 가까운 조상을 찾는 방식으로 해결됩니다. 이 문제는 트리의 구조를 이해하고, 재귀적 탐색이나 부모 추적 등을 통해 풀 수 있는 문제로, 면접에서 자주 출제됩니다.
면접에서 중요한 것은 LCA 문제의 풀이 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는 능력입니다:
- DFS (Depth First Search) 또는 BFS (Breadth First Search) 를 통해 부모 관계를 구축하고,
- 각 노드의 부모를 역으로 추적하며 조상을 탐색합니다.
- 더 효율적인 LCA 알고리즘으로는 희소 테이블(Sparse Table), 바이너리 리프팅(Binary Lifting) 등의 기법이 있습니다.
3. 시간 복잡도
LCA 문제는 일반적으로 트리의 높이에 비례하여 시간이 걸립니다. 이 코드에서 두 노드의 조상을 추적하는 방식은 트리의 높이(H)에 비례하는 시간 복잡도를 가지며, O(H)의 시간 복잡도를 가집니다. 이와 관련하여 시간 복잡도 분석을 할 수 있어야 합니다.
면접 시 설명할 수 있어야 하는 시간 복잡도 내용:
- 트리에서 두 노드의 부모를 추적하는 경우, 루트에서 리프까지의 경로를 탐색해야 하므로 높이에 비례하는 탐색을 해야 합니다.
- 따라서 이 방식의 시간 복잡도는 O(H)이며, 여기서 H는 트리의 높이입니다.
4. 자료구조 선택 및 활용
이 코드에서 사용된 자료구조는 리스트와 **집합(set)**입니다.
- 리스트: 부모 정보를 저장하는 데 사용됩니다. 각 노드의 부모를 추적하기 위한 배열로 사용되며, 리스트의 인덱스를 사용해 빠르게 부모 노드를 찾을 수 있습니다.
- 집합 (set): 첫 번째 노드의 모든 조상을 저장하고, 두 번째 노드의 조상과 빠르게 비교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set 자료구조는 평균적으로 O(1)의 탐색 시간 복잡도를 가지므로, 효율적인 조상 비교가 가능합니다.
자료구조 선택에 대한 질문이 나올 경우, 왜 set을 사용했는지와 리스트 대신 다른 자료구조를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논의할 수 있어야 합니다.
5. 재귀 vs 반복적 접근
이 코드는 반복적인 방식으로 두 노드의 조상을 추적합니다. LCA 문제는 재귀적으로도 풀 수 있는데, 면접에서는 재귀적 접근 방식과 반복적 접근 방식의 장단점에 대해 묻는 경우가 있습니다.
- 반복적 접근: 명시적인 스택을 사용하지 않고 루프를 통해 부모를 추적하며, 메모리 사용량이 적고 함수 호출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 재귀적 접근: 함수 호출을 통해 간단하고 직관적인 코드를 작성할 수 있지만, 트리의 깊이가 깊을 경우 스택 오버플로우 위험이 있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도 대비할 필요가 있습니다.
6. 트리의 구성 및 구현 방법
트리 문제에서 트리의 구성을 어떻게 다룰지 묻는 질문이 나올 수 있습니다. 트리는 여러 가지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이 문제에서는 간선을 통해 트리의 부모 관계를 배열에 저장하는 방식으로 구현되었습니다. 다른 방식으로는 인접 리스트, 인접 행렬 등을 사용한 그래프 표현 방법이 있습니다.
면접에서는 트리 구성 방법에 대한 이해를 물을 수 있으므로, 이와 관련된 다양한 구현 방식과 그 장단점을 설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7. 특정 트리 구조를 가정한 최적화 기법
면접에서 추가적인 질문으로 트리가 특정 구조일 때 (예: 이진 트리, 완전 이진 트리 등) 문제를 더 효율적으로 해결하는 방법을 물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진 트리에서 바이너리 리프팅(Binary Lifting) 기법을 사용하면 LCA 문제를 O(log N)에 해결할 수 있습니다. 이런 최적화 기법에 대한 이해도도 중요합니다.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알고리즘 문제 풀이 가이드: 코딩 면접 대비 완벽 준비-4134 다음 소수 편 (python) (0) | 2024.10.11 |
---|---|
백준 알고리즘 문제 풀이 가이드: 코딩 면접 대비 완벽 준비-5347 LCM 편 (python) (0) | 2024.10.09 |
백준 알고리즘 문제 풀이 가이드: 코딩 면접 대비 완벽 준비-1967 트리의 지름 편 (python) (0) | 2024.10.07 |
백준 알고리즘 문제 풀이 가이드: 코딩 면접 대비 완벽 준비-5639 이진 검색 트리 편 (python) (0) | 2024.10.04 |
백준 알고리즘 문제 풀이 가이드: 코딩 면접 대비 완벽 준비-20924 트리의 기둥과 가지 편 (python) (0) | 2024.0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