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어 처리 (2) 썸네일형 리스트형 프롬프트 체이닝이란 무엇일까? LLM과의 대화에서 숨겨진 가능성을 탐구해보자 최근 인공지능과 대화형 AI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대규모 언어 모델(LLM: Large Language Model)을 활용한 대화는 많은 사람들이 이미 경험하고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단순한 질문-응답을 넘어, 여러 질문을 체계적으로 연결하여 복잡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면 어떨까요? 오늘은 이러한 핵심 개념인 '프롬프트'와 '프롬프트 체이닝'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프롬프트란 무엇인가요?프롬프트는 LLM에게 특정 작업을 요청하기 위해 입력하는 '명령어' 또는 '질문'입니다. 자연어로 작성된 프롬프트는 모델에게 어떤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지를 명확히 알려주며, 이를 통해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게 합니다. 예를 들어, "재즈 장르의 대표적인 아티스트를 알려줘"라고 입력하면, L.. 임베딩: 인공지능의 언어 이해를 혁신하는 핵심 기술 자연어 처리는 인공지능 분야에서 가장 도전적인 영역 중 하나입니다. 인간의 언어는 매우 복잡하고 다의어, 문맥, 비유적 표현 등 다양한 요소가 결합되어 있어 컴퓨터가 이를 이해하고 처리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닙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기술 중 하나가 바로 '임베딩(Embedding)'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임베딩의 개념과 그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고, 임베딩이 어떻게 자연어 처리에 혁신을 가져왔는지 설명드리겠습니다.1. 임베딩의 탄생 배경: One-Hot 인코딩의 한계초기 자연어 처리에서는 단어를 표현하기 위해 One-Hot 인코딩 방식을 주로 사용했습니다. One-Hot 인코딩은 단어의 개수만큼의 길이를 가진 벡터를 생성하고, 해당 단어에 해당하는 인덱스만 1로 표시하고 나머지는 ..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