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Go 개발자를 위한 MCP 공식 SDK 출시 임박: 무엇이 달라졌고, 왜 주목해야 할까?

파파누보 2025. 7. 10. 17:44
728x90
반응형

https://socket.dev/blog/official-go-sdk-for-mcp?fbclid=IwY2xjawLcQ0ZleHRuA2FlbQIxMQBicmlkETExWXRyOEVYeWlkV3YwV2JuAR6AggVyHNUbva59afDEgT1sRQqtt-Y4HmZEyt5miI_Z9oAXKzyPzxDMvkyfCA_aem_A6PEL7C86y16BLzFzbaLxg

Go 개발자를 위한 공식 MCP SDK, 드디어 나온다

Model Context Protocol(MCP)을 사용하는 개발자라면 한 번쯤 이런 생각을 해봤을 것이다.
“왜 Go에는 아직 공식 SDK가 없을까?”

지금까지 Go 개발자들은 커뮤니티가 만든 mcp-go 라이브러리를 사용해왔다. 하지만 곧, 상황이 달라진다.
2025년 8월, MCP의 공식 Go SDK가 정식으로 출시될 예정이다. 아직은 ‘미출시’ 상태지만, 이미 기능적으로 상당히 완성돼 있고 설계 철학 또한 Go 생태계에 철저히 맞춰져 있다.

이 글에서는 MCP 공식 Go SDK의 개념과 배경, 기존 라이브러리와의 차이점, 설계 철학, 기능 및 예시, 그리고 앞으로의 개발 로드맵까지 자세히 살펴본다.

Go 언어를 쓰고 있다면,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할 정보들이다.

반응형

MCP 공식 Go SDK란 무엇인가?

MCP(Model Context Protocol)는 다양한 언어에서 모델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하고 연결할 수 있도록 돕는 프로토콜이다. 이미 TypeScript, Python, Java, Rust, Kotlin, C#용 공식 SDK가 존재한다.

그런데 Go만 없었다.
Go는 도구 제작, 백엔드, AI 인프라 쪽에서 널리 사용되는 언어임에도, 지금까지는 커뮤니티가 만든 mcp-go라는 비공식 SDK에 의존해야 했다.

이제는 달라진다. MCP 팀이 직접 개발하고 있는 공식 SDK는 Go 스타일에 맞춰 다시 설계됐으며, 곧 안정 버전이 릴리스될 예정이다.


단일 패키지 중심의 Go 스타일 설계

공식 SDK는 단일 mcp 패키지를 중심으로 구성돼 있다. 이는 Go의 표준 라이브러리(net/http 등)가 따르는 패턴과 유사하다.

  • 클라이언트/서버는 1급 객체로 제공된다.
  • Transport 추상화를 통해 다양한 통신 방식(stdio, SSE, HTTP 등)을 유연하게 지원한다.
  • SDK를 여러 하위 패키지로 나누지 않고 하나의 패키지에 통합함으로써, 탐색성과 문서화가 쉬워졌다.

이러한 구성은 코드 유지보수와 확장성 측면에서 큰 장점을 제공한다.


기존 커뮤니티 라이브러리와의 차이점

많은 개발자들이 이미 mcp-go를 사용하고 있다. 실제로 200개 이상의 모듈에서 400개 이상의 패키지가 이를 참조 중이다.

공식 SDK는 이 라이브러리의 영향을 일부 받았지만, 다음과 같은 이유로 호환성을 일부러 끊었다.

  • 최소주의 철학: 명확하고 단순한 API를 제공하기 위해 구조를 재설계.
  • 미래 확장성 확보: 향후 MCP 스펙의 진화를 고려하여 유연한 구조 설계.
  • 구조 분리: 세션, 전송, 클라이언트/서버 등을 명확히 구분해 유지보수성을 높임.

단, 공식 문서에서는 “mcp-go와의 변환은 대부분 간단하게 가능할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이후 변환 가이드도 함께 제공될 예정이다.


개발자 친화적 기능들

공식 SDK는 개발자 편의성과 확장성을 동시에 잡기 위해 다음과 같은 기능을 제공한다.

제네릭 기반의 핸들러 구성

  • Go의 제네릭을 적극 활용하여, 핸들러에 타입이 지정된 구조체를 직접 바인딩할 수 있다.
  • 입력 스키마는 자동 추론 및 런타임 검증이 가능하다.
  • 별도의 반복 코드 없이 핵심 기능만 구현하면 된다.

커스터마이징 가능한 스키마 처리

  • 기본값은 자동 설정되지만, 필요시 옵션을 통해 스키마를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다.
  • 이는 복잡한 입력 구조를 다룰 때 유용하게 쓰인다.

깔끔한 세션 관리 및 에러 처리

  • 내부적으로는 Go 팀이 유지보수 중인 JSON-RPC 엔진을 사용해, 세션 관리·취소·에러 전파 등을 안정적으로 처리한다.
  • 이는 Go 언어 서버(gopls)에서 검증된 기술이다.

프로젝트 현황 및 로드맵

현재 SDK는 기능적으로 매우 풍부하지만, 아직 정식 1.0 버전은 아님에 유의해야 한다.

앞으로 다음과 같은 기능들이 마무리될 예정이다.

  • 완성도 높은 자동완성 기능
  • 스트리머블 Transport 라이프사이클 지원
  • 고급 스키마 커스터마이징
  • 기여 프로세스 및 커뮤니티 거버넌스 정비

또한, 특정 벤더의 독점 방지를 위한 공정 경쟁 정책(Antitrust Policy)도 구글과 Anthropic 법무팀 주도로 준비 중이다.

정식 릴리스는 기능적으로 ‘충분히 완성됐다’고 판단되는 시점에 이루어질 예정이며, 이후에도 마이너 업데이트를 통해 기능을 추가하고, 메이저 변경 시에는 v2로 넘어갈 계획이다.


728x90

Go 개발자라면 주목해야 할 MCP의 미래

공식 MCP Go SDK는 단순한 라이브러리 출시를 넘어, Go 개발자들이 MCP 생태계에 본격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준다.

  • Go다운 철학
  • 개발자 친화적 설계
  • 향후 스펙 확장성까지 고려한 구조

이 모든 점에서 커뮤니티 라이브러리와는 다른 ‘공식’의 무게를 보여준다. 아직은 안정 버전 이전이지만, 지금부터 익혀두면 향후 빠르게 도입하고 활용할 수 있다.

Go 언어를 기반으로 AI 또는 분산 시스템을 설계하고 있다면, MCP 공식 SDK는 꼭 눈여겨봐야 할 도구다.

https://socket.dev/blog/official-go-sdk-for-mcp?fbclid=IwY2xjawLcQ0ZleHRuA2FlbQIxMQBicmlkETExWXRyOEVYeWlkV3YwV2JuAR6AggVyHNUbva59afDEgT1sRQqtt-Y4HmZEyt5miI_Z9oAXKzyPzxDMvkyfCA_aem_A6PEL7C86y16BLzFzbaLxg

728x90
반응형